“소비자 선택권 제한, 합리적 수준의 요금제 출시해야”

KT가 애견인의 주머니를 노린 비싼 펫 케어 요금으로 소비자의 원성을 사고 있다. 

최근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는 ‘펫팸족(Pet+Family 합성어)’ 인구가 점점 늘어나면서 KT도 펫 케어 서비스에 진출했다. 하지만 과도한 서비스 요금으로 이익 추구에만 열을 올리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사랑을 돈벌이에 이용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펫 케어 시장은 연평균 8.4% 성장했다. 2026년에는 27억 9000만달러(약 4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도 2020년 말 기준 한국 반려동물 가구는 604만 가구로 전체의 29.7%를 차지하고, 반려 인구도 1448만 명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주요통신사 펫케어 서비스 비교(단위: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주요통신사 펫케어 서비스 비교(단위: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월평균 양육비는 반려견 13만원, 반려묘 10만원으로 집계됐다. 2년간 평균적으로 47만원 정도를 치료비로 지출하고 있고, 주로 피부·소화기 질환과 건강검진에 사용했다. 반려동물이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은 하루 평균 5시간 40분이며, 외출 시 걱정을 덜기 위해 자동 급식기 (39.4%)·CCTV(30.3%)·자동 장난감(26.1%) 등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커지는 애견 시장에 발맞춰 비만 관리를 위한 산책·외출, 주기적 병원 방문, 자동 급식 서비스인 ‘반려견 디바이스 팩’을 5월 말부터 출시해 운영하고 있다. 

주요 서비스 내용은 ▲‘펫위즈(PETWIZ)’ 자동 급식기로 반려견 활동량을 분석하는 ‘사물인터넷(IoT) 웨어러블’에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 사료량 급여, 실시간 영상음성 소통이 가능하다. ▲ ‘페보프로 웨어러블’로 KT IoT 통신 기능을 탑재해 주기적으로 산책 시간과 거리 등 반려견 활동량 기록을 업로드해 건강관리를 돕는다. ▲ ‘페보(pevo) 반려견 케어플랜’ 서비스로 월 1만원을 추가하면 반려견 의료비를 연간 최대 13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반려견 의료비 지원 프로그램이다.

문제는 KT의 ‘반려견 디바이스 초이스 요금제’를 이용하려면 최소 월 10만원 정도의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는 점이다. 해당 요금제에 가입하면 제공되는 기기(약 27만 원)가 있지만 이마저도 일반 시장에서 구매하면 KT보다 더 저렴하다. 일반 시장에서는 앱 연동 자동 급식기의 경우 10만원~15만원, 웨어러블도 5만원~10만원 정도면 구입할 수 있다. KT는 최소 2만원~최대 12만원 정도를 기깃값으로 더 받는 상황이다. 

KT 반려견 보험요금 및 일반 보험 비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KT 반려견 보험요금 및 일반 보험 비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이뿐만이 아니다. 1만원을 추가하면 ‘KT의 펫 보험’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보장은 일반 보험보다 훨씬 떨어지고 사물인터넷(loT) 웨어러블 서비스는 앱과 잘 연동되지 않고 자주 끊겨 소비자의 불만이 높다. 

이에 KT 관계자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보다는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 노력하겠다”라는 원론적인 답변으로 일관하고 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KT의 펫 케어 요금제는 2년 약정기준 240만원이 넘어 소비자만 ‘봉’이라는 인식이 강하다"라며 “KT는 카드 신규발급과 무제한 모바일 요금제와 결합 시 추가 할인을 제공하지만, 고가 요금제 사용을 유도하려는 교묘한 상술에 불과하다"라고 지적하고 “KT는 소비자들이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요금제 개편에 시급히 나설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소비자들은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펫 케어 요금을 원하고 있다. KT는 수익 극대화만 추구할 것이 아니라 합리적 수준의 요금제 개편에 나서야 한다. 그것이 고객 중심의 핵심 가치를 지키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 

우먼컨슈머 = 임기준 기자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