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금 인하, 중간 요금제 세분화 등 소비자 요구 수용이 우선”

정부가 고물가 시대의 통신 요금 부담 완화를 언급한 직후 국내 이통3사(SKT, KT, LGU+)는 3월 한 달 동안 소비자들의 통신비 부담 경감을 위해 무료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키로 했지만, 소비자의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 

단기적 추가 데이터 제공은 눈 가리고 아웅 하는 ‘보여주기식’ 대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3월 한 달간 SKT와 KT는 만 19세 이상 가입자를 대상으로 30GB의 데이터를 추가 제공한다. LGU+는 모든 가입자에게 이용 중인 요금제의 데이터 기본 제공량만큼의 데이터 쿠폰을 제공한다. 

통신사별 데이터 추가 제공 내역
통신사별 데이터 추가 제공 내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3월 한 달 데이터 추가 제공의 직접적인 수혜 대상이 3373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휴대전화 전체 가입 회선(5030만명, 2022년 12월, 과기정통부) 대비 67.1%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모든 국민에게 광범위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은 전례 없는 조치”라 얘기한다. 하지만, 요금제 선택폭이 작아 매월 사용하는 데이터양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양과 고가의 요금제를 어쩔 수 없이 쓰는 소비자가 많다. 이미 매월 사용하지도 못하고 남아도는 데이터가 많은데, 30GB를 추가로 제공받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지 의문이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데이터 추가 제공에 따른 수혜 효과로 3월 한 달간 요금제를 하향할 경우, 통신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고 과기부가 밝혔다. 하지만 이는 상황을 전혀 모르는 소리다”라며 “요금제 변경은 위약금(차액 정산금)이 없는 경우에 한정된다. 결합조건 변경 및 멤버십 조건 변경 등 혜택의 차이도 고려하면 소비자가 기껏 한 달간 요금 혜택을 받기 위해 저가 요금제로 바꾸기는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이통3사는 지난해 5~6만원대의 5G 중간 요금제를 내놓았다. 하지만 중간 요금제의 가입자 수는 5G 전체 가입자 수의 1.2%(약 34만명) 수준으로 처참히 실패했다.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40GB~100GB 사이의 요금제가 없다는 것이 주된 요인이다. 세분화한 중간 요금제 출시는 외면한 채 당장 눈앞의 불부터 끄기 위해 내놓은 대책은 통신비 부담 완화라는 애초의 취지와도 부합하지 않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밝힌 통신비 절감 효과(5G 요금제 기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밝힌 통신비 절감 효과(5G 요금제 기준)

이에 이통3사는 “정부와 협의를 통해 40~100GB 구간의 요금제를 상반기 내 추가로 출시할 수 있도록 하고, 기간 선택 요금제 등 다양한 요금제 출시를 검토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번에도 무늬만 중간요금제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통3사는 합리적이고 세분된 중간 요금제를 조속히 출시해 소비자의 통신 요금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이통3사가 ‘이벤트성 대책’이 아니라, 요금 인하, 중간 요금제 세분화를 통한 요금제 선택폭 확대 등 소비자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라며 “정부도 이통3사의 입장이 아니라, 소비자의 입장에서 통신 부담 완화 대책을 강구할 것”을 촉구했다. 

우먼컨슈머 = 김승준 기자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