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차 경우 현대차가 5175건으로 가장 많아

(이미지=소비자주권시민회의 제공)
(이미지=소비자주권시민회의 제공)

차량기술은 해를 거듭할수록 발전하고 있지만 품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4일 자동차리콜센터 리콜 통계 자료를 조사해 공개한 결과 최근 3년간 국산·수입차 결함 신고현황이 1만8452건으로 집계됐다. 2019년 대비 2021년의 신고 건수는 2배(108%) 이상 증가했다.

최근 3년 연도별 결함 신고 건수는 국산차가 1만2415건, 수입차가 5944건이다. 제조사 별 결함 신고현황은 국산차 경우, 현대차가 5175건(41.7%)으로 가장 많았다. 기아자동차가 3691건(29.7%), 르노코리아가 1585건(12.8%)으로 뒤를 이었다. 수입차는 폭스바겐이 1627건(27%)으로 신고율이 가장 높았고, 벤츠 947건(16%), BMW 813건(13.7%)으로 뒤를 이었다.

차량 부위 별로는 엔진, 연료 장치 같은 동력 발생 장치(PPD)의 결함 신고가 6875건(32.8%)으로 가장 높았다. 조향 핸들, 조향축 등 조향장치가 3049건(14.5%), 동력 전달 장치는 1994건(9.5%)으로 나타났다.

최근 차량에 탑재되는 기능·장치가 다양해지면서 관련 결함 사유도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벤츠 EQA250은 에어백 제어장치 소프트웨어의 오류로 사고 발생 시 사고기록 장치에 일부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안전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또 쏘렌토(하이브리드) 등 현대·기아차에 탑재된 ‘스마트스트림 1.6T 하이브리드 엔진’은 엔진오일 비정상 증가 문제가 제기됐다.

시민단체는 “차량에 문제가 있을 경우 제조사는 결함 신고 내역을 바탕으로 조사하거나, 자발적인 리콜로 차량의 문제를 해결하지만 리콜이 능사가 아니다”라면서 “매해 결함 신고율이 급증하고 레몬법도 별다른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수준 높은 품질 관리 및 테스트로 차량의 결함률을 최소화하는 것이 제조사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고가의 차량을 구입한 소비자가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받고 피해를 보는 상황이 없어야 한다”며 “소비자는 베타테스터가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먼컨슈머 김승준 기자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