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지자체 양성평등 조직문화 진단 발표
광역지자체·남성·50대 이상일수록 "개선됐다"
남성 집중부서 약 60%, 여성 집중부서 10%

(제공=여가부)
(제공=여가부)

20개 지방자치단체 구성원들이 3년 전보다 조직 내 양성평등 수준이 개선됐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에서의 성별 분리 관행이 여전히 남아있고, 성희롱 대응체계에 대한 신뢰도도 낮은 편으로 드러났습니다.

여성가족부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지방자치단체 20개 기관을 대상으로 '양성평등 조직문화'를 진단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5급 이상 여성 관리자 비율은 광역단체 22.0%, 기초단체 24.4%로 낮았고, 전체 남녀 비율이 같다고 가정해 성비를 보정하더라도 광역 29.1%,기초 27.8%로 10명 중 3명을 넘지 못했다.

승진 등 인사에서의 성별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남성의 경우 5점 만점에 3.46점, 여성은 2.96점으로 차이가 났으며 50대가 3.46점으로 가장 높았고, 30대는 3.21점으로 낮았다.

한 성별이 60%를 넘지 않는 성별 균형부서는 광역단체 28.5%, 기초단체 26.1% 수준에 불과햇고, 공식적·비공식적 업무에서도 성별 분리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광역단체 기준으로 일정관리·서무비서는 87.4%가 여성이었고, 정무·수행비서는 88.8%가 남성이었습니다.남녀 모두 숙직과 일직을 수행하는  기관은 20곳 중 4곳뿐이었습니다.

경력중단이 발생하게 되는 육아휴직 활용률은 남성은 광역단체 7.5%, 기초단체 7.6% 수준이지만, 여성은  광역단체 24.2%, 기초단체 31.2%로 여성이 3~4배 이상 높았습니다.

성희롱 발생 시 피해자 신변 보호 여부에 대해선 남성은 3.23점,  여성은 2.38점으로 여성의 신뢰도가 크게 낮았습니다. 특히 20대는 2.41점, 50대 이상은 3.44점으로 차이가 컸습니다.

조직의 가해자·피해자 분리, 공정한 조사, 적절한 징계 등에 대해서도 여성은 모두 2점대로 낮은 신뢰도를 보였고, 남성은 3점대로 이보다 높게 평가했습니다.

부서·직무배치 시 성별 분리는 광역과 기초 모두에서 성별 불균형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성별이 60%를 넘지 않는 성별 균형부서는 30% 미만이고 남성 집중부서는 약 60%, 여성 집중부서는 10%였다.

기획·예산·인사·감사 등 주요부서와 건설·토목 부서 등에서 남성 비율이 높고 여성·복지 부서 등에서는 여성 비율이 높았다.

이번 조사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 조직내 성별 역할 분리가 심한 기관내에서 대체로 남성 선호 경향이 높고 성희롱 대응체계에 대한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습니다.

여가부는 "조직 내 성별 역할 분리가 심한 기관에서 대체로 남성 선호 경향이 높고, 성희롱 대응체계에 대한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여성의 주요부서는 근무 경험과 기간은 남성에 비해 짧았지만, 근무 희망도는 여성이 40%, 남성이 34.6%로 여성이 더 높았습니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양성평등 조직문화는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성별 분리 관행이 여전히 남아있고 성희롱 대응체계에 대한 신뢰도도 낮은 편"이라며 "각 기관의 현황 진단을 토대로 실현 가능한 개선과제를 도출해 양성평등 조직문화 조성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먼컨슈머= 김다연 기자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