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생활산업

피해 제보 전에 읽어주세요
  • 신속한 민원처리를 위해 제보자 성명과 연락처를 꼭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 우먼컨슈머는 소비자 제보가 접수되면 해당 업체나 기관 등에 해결을 촉구합니다.
  • 기자를 배정해 취재를 진행합니다. 피해내용을 구체적으로 적거나, 모바일 등으로 사진, 동영상을 메일(mail@womancs.co.kr)로 보내면 신속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 인터넷을 이용하기 힘든 소비자는 전화 02-553-8114로 제보하셔도 됩니다.
  • 제보 시 확실하지 않은 사항이나 단순히 타인의 명예훼손을 야기할 수 있는 내용은 응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고발분야를 선택, 버튼을 누르면 글쓰기창이 나타납니다.
제목

SKT은 왜 그럴까?/답변

닉네임
관리자
등록일
2025-09-22 17:38:42
조회수
222
소비자님 제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해 답변 드립니다.

1. 우편 고지서 이름 마스킹 관련

SKT 고지서의 이름 마스킹 처리가 ‘신청자 개별 요청’ 기준으로만 운영되는 점은 타사 및 타 우편물과 비교해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타당합니다.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고객에게 기본 적용 후, 원치 않는 고객만 별도 신청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해당 제보는 개인정보 보호 관점에서 공정위·방통위에 정책 개선 건의가 필요합니다.

2. 지로 납기일·고지서 기재 오류

고지서에 ‘25일 납기’로 표시해 혼선을 준 점은 명백히 소비자 기만 소지가 있습니다. 실제 납기일이 말일이라면 고지서에 정확히 반영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며, “신청자 개별 요청” 방식으로 처리한 것도 불합리합니다. 납부기한 안내는 소비자 권익과 직결되므로, 일괄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3. 멤버십 할인율 오류 및 사후 대응

2020년 8월 발생한 멤버십 할인율 오류 사례는 ①오류 발생 시점에 고객에게 즉각 공지하지 않았던 점, ②고객 응대에서 서로 다른 답변을 제공했던 점, ③사후 보상도 소극적으로 대응한 점 모두 명백한 문제입니다.
이와 같은 오류는 “개별 고객 민원”이 아닌 “전체 피해 고객 안내 및 보상”이 원칙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KT는 은폐·축소에 가까운 대응을 한 것으로 보여, 이는 소비자 신뢰를 훼손한 중대한 사안이라 할 수 있습니다.

4. 해킹 사건 관련

최근 해킹 피해와 관련해 소비자가 스스로 소송에 참여해야 하고, 대리점 방문·유심 교체·인증 절차 등 과도한 부담을 떠안는 구조는 부당합니다.
보안 관리 책임은 기업에 있으며, 피해 입증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명백히 문제입니다. 해외 사례처럼 기업이 책임을 지고 전면적 보상 및 사과에 나서는 것이 정당합니다.

5. 종합 의견

* SKT의 고지서, 멤버십, 보안 사건 등에서 드러나는 공통점은 “문제가 발생해도 소비자가 먼저 알아채고 항의해야만 일부 조치가 이루어진다”는 점입니다.
* 이는 선제적·책임 있는 고객 보호 조치와는 거리가 멉니다.
* 소비자의 불편·시간·노력은 기업의 비용과 마찬가지로 보상받아야 할 권리임에도, 이를 “소비자 개인 불편”으로 축소해 온 것은 개선이 시급합니다.

소비자님 제보는 공정위,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소비자원에 공식적으로 접수될 수 있는 사안이며, 단순 불편 수준이 아니라 제도 개선 및 집단적 소비자 권익 차원에서 다뤄져야 합니다.
작성일:2025-09-22 17:38:42 59.5.72.25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게시물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입력

하단영역

하단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