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컨슈머= 박문 기자] ‘1도1행주의’에 따른 지방은행 설립은 대구은행을 시작하여 1971년 충북은행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금융시대] 지방은행, 환원금융 통해 지역별 균형화 추구
1973년 인천은행 본점 전경. 인천은행은 후에 경기은행으로 이름 변경 (사진= 은행계)

1969년 2월 지방은행과 공동 입장을 대변할 기구로서 전국지방은행협의회가 설립됐다. 1년 뒤에는 전국지방은행단으로 개정됐다.

1972년은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이 개시된 해로 10개 지방은행이 모두 출범하여 지역의 중추금융기관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기간 8.3조치 이후 제2금융권의 생성발전, 정부의 자본시장육성책에 힘입은 자본시장이 급신장하고 금리의 지방은행에 대해 적용하던 차등이자폭의 점진적으로 축소되며 지방은행의 영업여건은 불리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은행들은 착실하게 성장기반을 닦았다. 

1972년~1977년간 지방은행의 발전사를 보면, 먼저 1971년말 현재 47억원에 불과하던 자본금은 6년 동안 6배가 증가, 1977년말 현재 332억4천만원에 달하고 있어 금융기관의 대형화 추세에 지방은행들이 민감하게 대응했다. 

배당률에 있어서도 1972년 상반기의 5~14%에서 1977년 하반기에는 17~20%로 끌어 올렸다. 이는 공금리수준을 훨씬 넘는 수준일 분만 아니라 전국은행 보다 높은 실적으로 충실했던 경영성과를 반영하고 있다.

지점망확대와 관련하여 특기할 만한 것은 지방은행의 서울지점 개설이 실현된 것이다. 1972년 8월 대구은행과 부산은행이 서울지점을 설치한 이래 1976년 3월까지 10개 지방은행이 모두 서울지점을 개설했다.

서울지점 개설로 지방은행은 환거래상의 불편을 해소했을 뿐 만 아니라 지방과 연고가 있는 중앙의 자금을 흡수하고 여유자금을 일시적으로 중앙에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수익성 제고에 도움을 얻게 됐다. 

이렇듯 지방은행의 발전과 더불어 지방은행간의 업무제휴와 협조를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고 관계당국에 대해서도 강력한 창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조직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전국지방은행단은 1973년 9월 전국지방은행협회로 개편되었다.

협회는 출범이후 상설기구를 두고 지방은행 공통의 입장을 당국에 반영시켰으며 회원은행간 혹은 대외적인 제반연락업무, 각종자료의 수집, 교환, 출판 등 광범한 활동을 주관했다.

특히 회원은행의 공통문제인 지방은행 서울지점에 대한 규제완화, 지방점포 신설시 지방은행의 우선권 인정, 지바은행의 지방공공단체 금고업무취급 지정, 예금지급준비율 차등적용 등 제반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각적인 활동을 펼쳤다. 

지방은행은 자본금에 있어서는 1968년말 지방은행이 15억원, 시중은행이 180억원으로 비율이 1대12였으나 77년말 지방은행은 332억4천만원, 시중은행은 1천821억5천만원으로 비율은 1대5.5로 축소됐다.

지방은행 설립이래 대출금 운용에 있어서 지역사회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고자 환원금융을 이행하여 금융지원의 지역별 균형화를 추구해왔다.

또 중소기업 및 서민금융지원을 적극 강화함으로써 금융의 균점화를 구현하는데 노력했으며, 지역발전을 이한 직간접투자를 활발히 전개함으로써 지역주민과 밀착된 경영을 추구했다. 

한편, 지역경제에 관한 연구가 빈약한 우리의 현실에서 각 지방은행들은 지역경제에 관한 각종 조사연구활동을 활성화하여 당국의 정책수립자료로 제공하고 지역기업의 경영방침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토록 했다. 그러나 초기 10년간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온 지방은행은 우리나라 금융여건 변화에 따라 경영여건이 설립초기에 비해 점점 어려워졌다. 

8.3조치이후 제2금융권이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다 시중은행의 대형화와 국제화가 급속도로 진행됐고 특수은행의 일반은행화 경향도 뚜렷했다. 지방은행의 육성을 위하여 초창기에 베풀었던 당국의 배려도 점차 줄어들었다. 

이처럼 역사가 일천하고 규모가 빈약한 지방은행으로서는 대처하기 어려운 속도로 주변여건이 달라지고 있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