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컨슈머= 박문 기자] 우리나라에서 지방은행 역사가 시작된 해는 1967년이다. 

1967년 10월7일 지방은행 최초로 대구은행이 설립됐다 (사진= 78년 한국금융30년사)
1967년 10월7일 지방은행 최초로 대구은행이 설립됐다 (사진= 78년 한국금융30년사)

그해 1월 17일, 박정희 대통령이 연두교서를 통해 “지역적 자본을 집대성하여 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내자동원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지방은행의 설치를 검토·추진할 것”임을 밝힌데서 출발한다.

이후 지역개발금융의 추진이 지방은행 설립으로 구체화됐다. 즉 경제개발의 추진으로 낙후화 경향을 보이고 있는 지역경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새로운 금융기관의 설립이 요청됐다.

대통령 연두교서에서 지방은행 설립문제에 대한 정책당국의 대원칙이 밝혀지자 각 지방의 대도시에 소재한 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설립운동이 펼쳐졌다.

2월 23일에는 은행감독원에 ‘지방은행 설립지도위원회’가 신설됐으며 24일에는 그동안 설립운동이 가장 순조롭게 추진돼오던 대구은행이 설립내인가신청서를 제출했다.

한달 뒤인 3월 24일 임시 금융통화운영위원회는 대구은행의 설립내인가를 결정했고 4월 6일에는 부산은행 역시 내인가를 얻었다.

이처럼 첫 단계를 순조롭게 진행한 지방은행 설립 작업은 주식공모의 부진과 주금납입의 저조라는 의외의 장애물을 만나 설립일을 수차 연기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은행 설립은 지역경제의 발전에 열의를 가진 지방상공인들과 각계 인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뒷받침에 힘입어 그해 10월 7일 대구은행이 개점식을 가짐으로써 첫 테이프를 끊었다.

대구은행은 섬유공업을 주축으로 하는 대구상공업계의 후원아래 자본금 1억5천만원으로 탄생한 것이다.

10월 25일에는 부산의 경제력을 배경으로 자본금 3억원의 부산은행이 신설됐다.

지방은행이 설립되기 시작한 해는 우리나라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초년도와 일치한다. 당시는 의욕적인 경제개발계획의 실시로 1965년부터 활기를 띠기 시작한 투자 붐이 한층 고조되고 있었으며 금리현실화조치 이후 금융기관예금이 급증추세에 있었다.

이같은 경제상황 속에 대구, 부산은행은 착실한 영업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더욱이 1968년 4월부터 여신금리의 재조정이 이뤄지면서 금리현실화 이후 역금리체제로 압박받던 금융기관의 수지압박요인이 완화됐다. 

이들 두 은행이 지방은행의 선발자로서 기반을 닦는 가운데 1968년 4월 22일에는 자본금 1억 5천만원의 충청은행이 대전에서 설립됐다. 그해 11월 20일에는 자본금 1억 5천만원의 광주은행이 개업했다.

지방은행의 활동영역이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됐고 1969년 상반기말 현재 4개은행의 자본금은 15억원, 점포는 35개, 여수신규모는 각각 103억원 및 147억원에 달했다.

1978년 재무부가 발행한 한국금융 30년사에 따르면, 초창기의 지방은행이 비교적 순조롭게 성장하는데 기여한 요인으로 차등금리제도의 적용, 유동성규제대산에서의 제외 등 당국의 적절한 지원책과 경제개발의 성공으로 인한 경제규모의 확대 및 경제활동의 신장 등을 꼽았다.

그러나 정부가 1969년부터 과열되어 가는 투자 붐을 진정시키기 위해서 금융긴축정책을 펼쳤고, 각 금융기관이 불경기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하여 업무의 다양화와 점포망의 확장에 주력함에 따라 지방은행의 경영여건은 어려워지기 시작했다.

이 가운데 1969년 9월 19일 자본금 2억원의 제주은행이 제주에서, 그해 12월 8일 자본금 1억5천만원의 인천은행(1972년 6월 1일 경기은행으로 개칭)이 인천에서, 12월 10일 자본금 2억원의 전북은행이 전주에서 설립됐다.

1970년 4월 3일 자본금 3억원의 강원은행이 춘천에서, 5월 22일에는 자본금 3억 원의 경남은행이 마산에서 설립됐으며, 1971년 4월 24일에는 자본금 2억 5천만원의 충북은행이 청주에서 설립됐다. 충북은행을 마지막으로 ‘1도1행주의’ 방침에 따른 지방은행 설립 작업은 완결됐으며 지역자본의 집대성이라는 국민경제적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체제가 구축됐다. 


 

관련기사

키워드

#금융시대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