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학근 편집국장
임학근 편집국장

[우먼컨슈머= 임학근 편집국장] 코로나19의 올해 9월까지 결과를 보면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사경을 헤매는 오프라인 기업들이 전자상거래 네트워크로 몰려들면서 그들의 데이터가 BigTech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로 넘어갔다. 뿐만 아니라, 직원들이 집에서 근무를 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에 무료봉사까지 하게 되었다. 온라인 정보 및 노동 네트워크가 더욱 공고해진 것이다.

지난 30년 동안, 전자상거래의 지평이 세계화 될수록 IT 기업의 정치적 영향력은 극대화 되었다. 국가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져 민주주의가 파괴되었다고 아우성이었다. 그러나 이 아우성은 차라리 행복했던 과거가 되었다.

정부가 기업에게 국가행정과 통치를 요구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코비드19의 진행과정에서 사기업이 국가에게 무엇을 요구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오로지 국가가 제약, 의료, 통신, 콘텐츠, 미디어 기업의 행보에 정치와 행정의 목숨을 걸었다.

자본주의 정부는 세금으로 운영한다. 지난 30년 동안 세금을 함부로 쓰다 못해 해외은행에서 대출까지 받아 나라의 빚을 100% 이상으로 올려 온 G20 정부였다. 코비드19 이후 이들 정부에게 이자를 받아 내고 국민으로부터 세금을 끌고 올 강력한 주체는 은행을 앞세운 IT 기업이다. 앞으로 사생활보호나 GMO의 여러 규제를 철폐하는데 좋은 환경을 제공할 것이고 각국의 정부는 이들의 영업사원으로 더욱 활동하게 될 것이다.

중국, 러시아를 제외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브라질, 인도 등 거대 국가들의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가 바닥에 떨어졌다. 이는 곧바로 초국적 기업이나 새로운 유엔체제에 매달리게 하는 인자로 작용할 것이다.

PCR 검사를 통해 3억 2천만 세계 시민의 DNA 코드가 대거 저장되었다. 개인 정보를 늑대처럼 찾아다니던 IT, 생명공학, 인공지능, 금융결제 기업들에게 소비자 및 관리대상의 DNA 정보가 넘어가는 것이다.

DNA 복제 PCR(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은 LSD 복용 및 지지자, 생명공학자, 소설가, 제빵사 였던 멀리스(Kary Banks Mullis)가 만들었다. 그는 DNA의 형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DNA를 붙잡고 싸울 것이 아니라, 해당 DNA를 마구 복제하면 공통된 염기서열도 다량으로 확인될 터, 그렇게 형질을 파악하려 했다. 만든 지 10년 만인 1993년 노벨상을 거머쥐었다.

아무리 적은 검체라 해도 수억, 수십억배로 DNA와 RNA가 복제될 수 있었다. 혈흔, 친자검사, GMO 함유량 측정, 부화, 죽은 세포의 염기서열 분석 등도 PCR로 행해졌다.

O. J. 심프슨의 범죄수사도 PCR로 이루어져 명성이 크게 알려졌다. 그러나 멀리스는 과학계에 대한 신뢰가 없었다. 노벨상을 받았어도 에이즈, 기후변화, 오존층, 에이즈 문제 모두가 거짓논쟁이라 했다.

PCR은 바이러스 검사와 하등의 관계가 없는 DNA 복제법이다. 바이러스가 검사되려면 세포(숙주)가 어느 정도 바이러스에 의해 침투, 변화 되었나를 보아야 하는데 PCR은 세포와 상관없이 바이러스의 DNA/RNA존재 여부만 확인하는 법이다.

즉 바이러스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이지, 양이 많거나 적거나, 질병에 걸렸는가를 검사하는 것이 아니다. PCR은 게다가 세포를 파괴하는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단순한 기생 바이러스, 4000년 전 바이러스 찌꺼기 속의 DNA도 모두 잡아낸다.

이는 죽은 개똥이의 이름표를 보고 개똥이라면서 마치 살아 있듯이 말하는 것과 같다. 이렇듯 이미 탄자니아 대통령의 과일 PCR 실험에서도 드러난 엉터리이다. 바이러스 찌꺼기가 붙은 세포를 떼어내 DNA/RNA를 복제, 증폭시키면 누구든 바이러스 확진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방역당국도 이 내용을 충분히 알 것으로 믿는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