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컨슈머= 김아름내 기자]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7(2015=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보합(0.0%)이었다. 지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마이너스(-)를 보였다가 한 달 만에 0%로 올라갔다. 

국제유가 하락 등 여전히 저물가 기조를 보이지만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진작을 위해 정부가 국민에게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 효과로 축산물 가격은 올랐다. 

6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104.87로 전월대비 0.2% 상승, 전년동월대비는 0.0%를 보였다 (사진= 뉴시스)
6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104.87로 전월대비 0.2% 상승, 전년동월대비는 0.0%를 보였다 (사진= 뉴시스)

통계청은 2일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 -0.038%를 보이며 사상 처음 수치상 마이너스를 보였고 9월(-0.4%) 공식물가 또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올해 1월 1.5%로 3개월 연속 1%를 유지했으나 4월에는 0.1%로 0%대로 내려가더니 5월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된 바 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동향심의관이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을 공표하고 있다 (사진= 뉴시스)
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동향심의관이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을 공표하고 있다 (사진= 뉴시스)

안형준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6월 물가는 전체적으로 저물가다. 석유류 국제유가가 크게 하락하고 교육지원 확대, 고교 무상교육 등 공공 서비스 물가가 내려갔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로 외식물가 상승폭과 함께 여행 관련 개인 서비스가 둔화됐다”고 말했다. 

이어 “5월과 비교했을 때 물가가 상승한 이유는 국제유가 상승이 6월 국내 유가에 반영되며 석유류 가격 하락 폭이 축소됐기 때문”이라고 했다. 긴급재난지원금과 생활 방역 전환에 따라 축산물 가격이 일부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농축수산물은 지난해보다 4.6% 상승했다. 봄배추 작황부진으로 채소류 가격은 9.7% 상승하며 농산물 물가를 0.5% 올렸다. 배추(58.1%), 고구마(30.2%) 등의 가격은 올랐고 고춧가루(-13.1%), 마늘(-21.0), 쌀(-1.9%) 등은 내려갔다. 고등어(14.5%), 명태(18.0)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산물 가격은 지난해보다 6.9% 올랐다. 

코로나19에 따른 야외활동이 줄면서 집밥 수요가 늘었다. 돼지고기(16.4%), 국산 쇠고기(10.5%) 등 축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10.5%나 올라 전체 물가 상승에 0.24%p 기여했다. 정부가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공업제품은 지난해보다 1.4% 하락했다. 가공식품인 햄 및 베이컨(8.0%) 등은 1.3% 올랐지만 국제 유가가 하락하면서 휘발유(-13.8%), 경유(-19.3%), 자동차용 LPG(-12.1%), 등유(-16.2%) 등 석유류는 15.4%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68%p로 끌어내렸다. 5월보다는 4.8% 오르면서 하락 폭은 축소됐다. 소파(12.1%), 식탁(10.8%), 장롱(3.8%) 등 가구류의 가격 상승도 공업제품 물가하락을 잡았다. 이 또한 긴급재난지원금 영향으로 해석된다. 

서비스 물가 상승은 0.1%에 그쳤다. 고등학교 납입금(-68.0%) 등 교육 분야 정책지원에 따른공공서비스가 2.0% 하락한 원인이 컸다. 전세(0.2%), 월세(0.1%) 등은 지난해보다 0.2% 상승했다. 

안형준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세는 지난해 9월부터 마이너스였다가 4월에 보합, 5~6월에 2개월 연속 상승했고 월세도 4~5월에 보합, 6월에 플러스(+)로 전환되며 오랜만에 상승세를 보였다”고 했다. 다만 “통계에서 6.17 부동산대책 효과를 말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개인 서비스는 1.0% 상승에 머물렀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0.6%였다. 지난 2012년 5월부터 2013년 2월에도 외식물가는 0%대 상승률을 보인 바 있다. 

안형준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돼지고기, 쇠고기 등 축산물과 가구 등 내구재 가격은 올랐지만, 외식 물가 상승률이 0.6%에 그친 것을 봤을 때 긴급재난지원금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했다. 

소비자 구입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은 141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보다 0.3% 하락했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조건,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상승했다.
계절적 요인,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근원물가)는 축산물과 가공식품 가격 상승으로 지난해보다 0.6% 올랐다. 그러나 지난해 7월(1.0%)이후 11개월째 0%대에 머물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지난해보다 0.2% 오르는 데 그쳤다. 지난해 2월(1.1%) 이후 1년 4개월째 0%대 물가를 보였다. 

마스크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했다. KF94 오프라인 가격은 1600원대며 온라인은 5월만해도 2700원이었다가 지금은 2100원까지 내려갔다. 비말차단용 마스크는 500~800원 가격대로 형성돼있었다.

안형준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가격이 7월에도 하락한다는 전망에 “6월까지 상승했기 때문에 7월에도 상승할 것”이라고 봤다. 이어 “소매판매가 살아나면서 수요증가도 일부 있겠지만, 정부 정책으로 보면 교육 분야에서 가격 하락 압력이 계속 작용할 듯 싶다”고 했다. 

6월 소비자물가 동향과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주요국 경제활동 재개로 국제유가가 반등하며 휘발유 가격이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또 집밥 수요 증가로 축산물 중 돼지고기, 쇠고기 등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기재부 측은 “향후 소비자물가는 코로나19 전개양상, 국재유가 흐름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는 소비자물가 흐름 및 물가 상·하방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