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컨슈머= 김아름내 기자] 최근 10년간 한국 여성의 생산가능인구와 취업자 증가율에 최고수준으로 나타났지만 고용률은 최저로 여성의 경력단절이 지속되고 있다는 조사가 발표됐다. 한국경제원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30-50클럽 7개국 여성의 생산가능인구수, 경제활동참가율, 취업자수, 고용률, 실업률 및 연령대별 고용률 등 6개 고용지표를 분석했다. 

30-50클럽은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천만 명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국가로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한국 등 7개국이 해당한다.  

여성 생산가능인구 증가율을 봤을 때 7개국 중 한국이 13.9% 상승하며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탈리아 8.3%, 영국 8.1%, 프랑스 5.4%, 독일 4.7%, 일본 4.3%, 미국 3.6% 순이었다. 

취업자 수 또한 한국은 12.7%로 독일 10.2%, 영국 8.8%, 일본 6.1% 보다 증가했다.

다만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2008년 53.3%에서 2018년 57.2%로 증가했지만 7개국 중 6위로 낮았다. 지난해 기준 1위인 독일은 72.1%로 한국과의 격차는 14.9%나 됐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지난 10년 간 30-50클럽 7개국 가운데 15~6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가장 증가한 나라는 일본으로 각각 9.1%p, 9.9%p 상승했다. 우리나라가 각각 4.6%p, 3.9%p 증가한데 반해 2배 이상 높았다. 

같은 기간 여성의 실업률이 가장 개선된 나라는 독일이었다. 2008년 7.7%에서 2018년 3.0%로 4.7%p 감소했다. 일본과 미국은 각각 1.6%p, 영국은 0.6%p 감소했다.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각각 1.0%p, 1.3%p, 3.4%p 증가하며 실업률이 악화됐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지난해 기준 30-50클럽 7개국의 15~64세 여성의 고용률은 대체로 15~19세가 가장 낮다가 20~40대까지 증가, 50대 이후에 다시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한국과 일본은 출산·육아기로 대표되는 30대 전·후반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대거 퇴장하는 ‘경력단절 현상’이 나타나면서 지난해 우리나라 35-39세, 40세-44세 여성의 고용률은 각각 59.2%, 62.2%로 7개국 중 가장 낮았다. 1위인 독일과는 약 20%p 격차를 보였다. 

여성 전체 고용률이 최하위인 이탈리아도 35세~44세 여성 고용률은 우리나라 보다 높았다. 

한경연은 30대 후반에서 40대 전반 여성의 급격한 고용률 감소는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로, 장기간 해결되지 못한 채 지속되고 있다고 봤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여성 고용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유연근무제 활성화 및 기업의 여성고용 유지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해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는 한편,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훈련 강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재취업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