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컨슈머= 박우선 기자] 성인 5명 중 3명 이상이 신조어를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과 두잇서베이는 제 573돌 한글날을 맞아 회원 3862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신조어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64.8%는 '부정적인 입장'이라고 했다. 

(알바콜 제공)
(알바콜 제공)

신조어 사용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이유로 '신조어가 한글을 파괴한다고 생각해서'(39.8%,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세대차이가 생기기 때문'(22.3%), '신조어를 이해하지 못해서'(17.1%), '특별한 이유는 없지만 부정적인 입장'(5.2%) 등으로 이어졌다.

신조어 사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총 응답자의 35.2%)도 있었다. '신조어를 쓰는 문화가 재밌다'(27.6%),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언어'(27.3%)가 이유였다. 또 '신조어가 한글 발전에 기여한다고 생각'(16.7%), '주변에서 많이 쓰기 때문에'(12.4%)라는 답도 있었다.

연령대를 교차분석한 결과, 신조어를 긍정적으로 인식한 세대는 20대(49.5%)와 30대(34.2%)로 나타났다. 부정적으로 보는 세대는 60대 이상(76.8%)과 40대(70.6%), 50대(66.6%)였다.

'신조어를 어떻게 접하는지'는 물은 결과 'SNS 및 온라인 커뮤니티'가 25.4%, '인터넷 방송,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이 19.3%로 전체 응답자의 44.7%가 인터넷에서 신조어를 습득했다. 또 '나보다 어린 세대를 통해서'(17.6%), 'TV/라디오'(14.3%), '주변 사람을 통해서'(13.2%)로 조사됐다. 2.4%는 '접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신조어 중 어떤 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 묻자 '줄임말'(26.4%)이라는 응답이 돌아왔다. '얼죽아(얼어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 처럼 줄임말 유형이 많았다. 글자에서 중성과 종성을 제거한 ‘초성어’(16.7%)와, 낱말에 ‘최고’라는 의미를 뜻하는 킹, 핵, 갓 등을 붙여 쓰는 ‘붙임말’이 14.4%였다. '댕댕이(멍멍이:개)', '머기업(대기업)' 등 특정 음절을 비슷한 모양의 다른 음절로 바꿔 쓰는 ‘야민정음’(9.9%)도 있었다.

한글을 보다 널리, 발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을 묻자 '교육확대(순우리말, 맞춤법, 띄어쓰기)'(31.8%)를 첫 번째로 꼽았다. '지속적인 한글 홍보'(28.4%), '신조어 및 비속어 줄이기'(22.9%), '무료 한글폰트 개발 및 보급'(12.7%)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알바콜 서미영 대표는 “자기소개서 등 엄연한 비즈니스 상황에서 신조어와 줄임말은 감점요인이기도 한 만큼, 한글 바로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