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 1~9월 소비자체감경제 전망지수 추이
5개 영역, 부정적 전망 커 
6월 휴가, 9월 추석·민생안정대책으로 반짝 상승 

[우먼컨슈머= 김아름내 기자] 소비자들은 개인경제보다 국가경제를 더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가 처한 정치·경제·사회적 상황을 어둡게 보고있다는 의미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연초 이래 죽 하강세를 보이다가 9월 반짝 상승했다. 추석 명절과 연휴라는 심리적 호재와 더불어 정부에서 8월 27일 발표한 추석 민생안정대책 효과가 더해진 덕이다. 즉 정부가 재정을 동원, 돈을 뿌린 효과라고 할 수있다.  지원내용을 세부적으로 보면   근로·자녀장려금 5조원 조기지원,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96조 원, 추석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등의 선심정책을 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는 1~9월  3만 80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체감경제조사를 실시, 향후 6개월 전망을 ‘긍정적’, ‘중간’, ‘부정적’으로 답하게 한 결과 

△국가경제 △개인경제 △소비지출 △경제정책영향 △삶의 질 등 전체 5개 영역 지수 각각 200을 기준으로 할때 모두 100 미만으로 나타나 긍정보다 부정적 전망이 많았다고  8일 밝혔다. 

소비지출과 삶의 질 전망은 각각 80점대 후반, 90점대 초반으로 상대적으로 덜 부정적이었으며 국가경제에 영향을 주는 경제정책영향 전망은 80점대로 부정적 견해가 높았다. 
개인경제 전망은 70점, 국가경제 전망은 60점대로 국가경제를 매우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국가경제 전마을  부정적으로 보는 큰 이유는 소득주도성장, 최저임금인상, 주52시간 근무제 정책보다는 현 정부의 정치·경제·사회적 기조가 신뢰받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는 1~9월 월별 변화 추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1월 낮게 출발해 2월 1~3포인트 상승했다가 4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1월은 최저임금 인상, 주52시간 근무제 등 새로운 경제정책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한 관망에 따라 낮았으나 2월에는 해당 정책에 대한 혼란이 크지 않다는 판단 아래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 제공)
(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 제공)

소비지출, 개인경제, 국가경제 전망은 4월~8월 연속 하락했다. 삶의 질과 경제정책영향 전망은 6월 상승세로 반전했는데 여름휴가 시즌 시작과 관련된 것으로 풀이된다. 9월 또한 상승세를 보였다. 추석연휴 특수 영향으로 보인다. 

연휴, 휴가, 명절 등은 삶의 질과 정서적 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다만 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는 9월 상승을 일시작 효과로 봤다. 그 이유는 가장 취약한 계층인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고령층의 개인경제나 국가경제에 대한 전망이 완화됐으나 60대 이상은 전 연령대에서 경제 전망을 가장 부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는 “한국 경제는 올해 9월, -0.4%의 소비자물가 하락을 보이며 이른바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연중 모든 경제전망 지수가 100미만을 유지한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삶의 현장에서 직접 느낀 살림살이 형편이 좋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6월 소비지출과 삶의 질 인식이 일시적으로 호전되고, 9월 대부분 영역에서 전망지수가 상승했다고 하더라도 이 현상이 추세로 자리 잡았다고 보긴 이르다고 내다봤다. 휴가철, 추석 명절과 대규모 민생안정대책이 영향을 줬기 때문이다. 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는 “체감경제 호전이 하나의 추세로 자리 잡았는지는 1~2주 더 지켜보면 알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