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기술개발에 산업부·과기정통부 손잡았다..."한 부처가 다 할 수도 없다"

[우먼컨슈머= 이춘영 기자] 그동안 같은 사업을 놓고 누가 주도권을 잡는 주무부처가 되느냐를 둘런싼 경쟁을 벌여온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자율주행사업에서 손을 맞잡는다.

20일 오후 대구 수성구 수성알파시티 내 순환도로에서 자율주행 셔틀버스 카모(오른쪽), 스프링카(왼쩍)가 일부구간 교통을 통제한 후 시범 운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20일 오후 대구 수성구 수성알파시티 내 순환도로에서 자율주행 셔틀버스 카모(오른쪽), 스프링카(왼쩍)가 일부구간 교통을 통제한 후 시범 운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 미래차 사업은 국제경쟁이 워낙 치열해 잘못하다가는 국내 산업이 죽는다는 긴박감에서다. 미국의 경우 자율주행 택시도 등장한 상황이다. 국내업계는 이제 자율주행 3단계 수준에 머물러있다.

자율주행 기술은 우선은 자동차산업에 필수적이지만 산업의 융합에 따라 각 산업에 적용되는 핵심기술이라는 평가다.

산업부와 과기정통부는 22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자율주행 패스트트랙 사업' 기술협의체 킥오프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원활한 기술협의체 운영과 관련 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해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8개 기관이 참여하는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자율주행 패스트트랙 사업'은 범부처 차원에서 추진하되 신속한 개발 필요성이 있는 자율주행 분야는 산업부와 과기정통부가 R&D를 수행한다.

산업부는 오는 2021년까지 자율주행차의 AI 기반 컴퓨팅 기술·차량제어 솔루션 개발, 기술 실증, 국내외 표준을 도출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171억원이 투입된다.

또 과기정통부는 개발비 118억을 들여 비정형 주행환경에서도 안정적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SW) 솔루션과 자율주행기능 검증 시뮬레이션 SW를 개발하게 된다. 비정형 주행환경은 주행·정지·횡단이 신호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도로를 말한다.         

산업부-과기정통부 자율주행기술 협력사업 구성 체계 (출처=산업부-과기정통부)

이번 자율주행차 기술협의체에서는 기술개발 성과 연계 방안과 범부처 자율주행 기술개발 추진 방향 등을 논의했다.

최남호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미래차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민간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번 기술협의체가 구심체가 돼 자동차·정보통신 업계의 자율주행 분야 기술협력과 융합이 가속화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자율주행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약체로서 이종 산업 간 융복합이 필수인 분야"라며 "범부처 간 협력이 무엇보다 강조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