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이유, 이직, 업무 불만, 연봉 불만 순

[우먼컨슈머= 박우선 기자] 퇴사하는 직장인 5명 중 1명은 경력 1년 미만인 신입사원으로 나타났다. 이유는 무엇일까. 

(제공=사람인)
(제공=사람인)

사람인(대표 김용환)은 기업 576곳을 대상으로 ‘퇴사율 현황’을 조사했다. 그 결과 기업들의 최근 1년간 평균 퇴사율은 17.9%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조사 결과보다 0.9%p 상승한 수치다.

퇴사율이 가장 높은 연차는 ‘1년차 이하’(48.6%)였다. 2년차(21.7%), 3년차(14.6%), 5년차(5.1%) 순으로 연차가 낮을수록 퇴사자가 많이 발생했다. 

특히, 1년차 이하의 최근 1년 간 평균 퇴사율은 27.8%로 집계됐다. 전체 직원의 평균 퇴사율 보다 9.9%p나 높았다. 

퇴사자가 가장 많은 직무는 ‘제조/생산’(20.9%)이었으며, ‘영업/영업관리’(16.3%), ‘고객 서비스’(12.6%) ‘IT/정보통신’(6.9%), ‘연구개발’(6.3%)로 이어졌다. 

퇴사자들이 밝힌 퇴사 사유로는 이직(41.7%, 복수응답), ‘업무 불만’(28.1%), ‘연봉 불만’(26.2%), ‘잦은 야근 등 워라밸 불가’(15.4%), ‘복리후생 부족’(14.8%), ‘상사와의 갈등’(14.6%) 등이 많았다.

과거에 비해 퇴사율은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최근 2년간 퇴사율 추이 변화에 대해서는 57.9%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했지만, 28.3%가 ‘높아졌다’고 밝혀, ‘낮아졌다(13.8%)’는 응답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퇴사율이 높아지는 원인은 ‘연봉 등 처우가 좋지 않음’(45.1%,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과도한 업무량과 잦은 야근’(27.8%), ‘회사의 비전이 불투명함’(27.1%), ‘회사 실적과 재무상태 악화’(18.8%), ‘장기근속 혜택 부재’(17.4%)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이들 기업은 높아지는 퇴사율 때문에 ‘직원 공백으로 인한 업무 차질’(78.5%, 복수응답), ‘조직 내 사기 저하’(48.6%), ‘대체 인력 채용으로 비용 발생’(32.6%), ‘해당 팀 성과 하락’(15.3%), ‘입사지원자가 적어짐’(13.2%) 등 피해를 입고있다고 답했다. 

전체 기업들 중 대부분(85.4%)은 퇴사율을 낮추기 위해 ‘워라밸 확보 위한 정시퇴근’ (38.4%, 복수응답), ‘근무환경 개선’(37%), ‘복지혜택 확보’(36.6%),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 확립’(30.7%), ‘인력 충원으로 업무 강도 완화’(27.2%), ‘장기근속자 포상’(18.1%) 등의 노력을 기울인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