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컨슈머=박우선 기자] 4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육아정책연구소가 실시한 '2018년 보육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영유아 가구(2533가구 아동 3775명)의 보육·교육 총비용은 가구당 월 23만4200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9%다.

어린이집 둘러보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사진=뉴시스 제공)
어린이집 둘러보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사진=뉴시스 제공)

3년 주기로 진행되는 이전 보육실태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2013년 0~5세 무상보육 확대 시행 이후인 2015년 12만2100원(가구소득 대비 3.0%)과 비교하면 11만2100원과 비교하면 1.9배 증가한 규모다. 무상보육 시행 전인 2009년(18만9500원)이나 2012년(20만8700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보육·교육 비용 상승은 어린이집을 제외한 일반유치원과 영어유치원, 시간제 사교육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복지부는 추정했다.

실제 총비용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물론 놀이학교, 영어유치원 등 반일제 이상 기관(최소 3시간 이상 영유아가 정기적으로 다니는 학원), 개인양육서비스, 시간제 사교육비용 등을 모두 포함한 금액이다.

전체 영유아를 대상으로 산출한 보육·교육기관 이용비용은 지난해 월평균 14만9600원으로 3년 전(9만6400원)보다 5만3200원 올랐다.

기관별로 보면 어린이집 이용비용은 6만1000원으로 무상보육 시행 이후인 2015년 6만1500원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3년 전과 비교해 유치원 교육비는 79%(13만500원→23만8800원), 놀이학교·영어유치원 등 반일제이상 기관 69%(43만4300원→73만3880원) 등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혈연 등 개인양육지원서비스 지출은 13%(62만2000원→70만3000원), 시간제 사교육 지출은 24%(11만6800원→14만5200원) 등 증가폭을 보였다.

문제는 보육·교육기관 이용비용에 따른 부담을 저소득층일수록 크게 느낀다는 점이다.

가구소득별로 199만원 이하 가구는 지난해 보육·교육기관을 이용하는 데 가구소득 대비 6.9%(8만6900원)를 썼다. 비용 자체는 200만~249만원 가구(월 6만8000원)를 제외하면 가구소득이 오를수록 늘었지만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소득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700만원 이상 가구는 매월 24만3100원을 지출해 199만원 이하 가구보다 15만6200원 더 냈지만 이는 가구소득의 2.7% 수준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적정수준의 가구소득 대비 보육·교육비 지출 비중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며 "특히 저소득 영유아 가구의 보육·교육기관 이용에 드는 비용 부담의 경감을 위한 정책적 배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시사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