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컨슈머= 박우선 기자] 신입사원 10명 중 2명은 5개월만에 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근속연수는 1년  6개월이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은 최근 1년간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 687개사를 대상으로 ‘조기퇴사자 발생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66.2%가 ‘있다’라고 밝혔다고 23일 전했다.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은 전체 신입사원 중 약 26%로 이들은 입사 후 평균 5개월만에 퇴사했다.

통계청 청년층 조사 결과도 별반 다르지 않다. 올해 5월 기준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1년 5.9개월로 짧은 편이다. 취업준비기간이 늘고 있지만 입사를 하더라도 빠른 시간 내 퇴사하는 이들도 생기는 것이다.

어렵게 취직한 회사인데도 불구하고 짧게 일하다 그만두는 것일까.

조기퇴사자들이 회사에 밝힌 퇴사 사유는 ‘적성에 맞지 않는 직무’(48.6%,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낮은 연봉 수준’(26.4%), ‘업무 불만족’(22%) 순이다.

직무적합성은 최근 채용평가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업이 인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2030세대는 업무상 성취감과 보람을 중요히 여기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람인은 구직자 573명을 대상으로 ‘바라던 직무를 위해 무엇을 포기할 수 있는지’ 물었을 때, 응답자의 42.8%(복수응답)는 기업의 대중적 인지도, 회사의 사회적 평판(35.6%), 높은 연봉(25.1%) 등을 '포기할 수 있다'고 답했다. 

현재 정부 차원에서는 ‘갭이어’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청년들(19세~34세)의 직업 만족도 및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 개인의 적성, 진로탐색 등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서울시는 올해 갭이어 사업으로 ‘2018 청년인생설계학교’를 추진해 지난 9월부터 3개월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도는 자체적으로 갭이어 사업을 공모했으며 전주시 등 많은 지자체에서 ‘갭이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갭이어는 영미권에서 우수한 학생들의 대학 중도 포기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고등교육을 받을 예정인 학생들에게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됐다.

우리나라에서 대학생과 직장인 대상으로 등장한 이유도 이와 다르지 않다. 적합한 직무를 찾아 인재들이 기업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갭이어’ 제도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민간기업에서도 직무 적합성에 따른 일자리 매칭을 위해 노력 하고있다.

사람인에서는 지원 직무가 본인에게 적합한지 파악할 수 있는 인성검사 서비스를 선보여 자신에게 맞는 직무 선택 가이드를 제시한다. 6가지로 분류된 성격 특성 분석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직무에 맞는 성향인지,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현재까지 총 15만명의 구직자들이 참여했다. 이를 기반으로 사람인은 인공지능 매칭기술을 활용해 성향과 잘 맞는 채용정보와 기업을 추천해준다. 신뢰도 높은 검사 결과와 개인의 구직활동을 분석해 맞춤 채용공고를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불필요한 검색 시간을 줄이고, 일자리 매칭 확률을 더욱 높인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