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헬스케어 시대, 데이터 양 홍수...“데이터 전쟁을 대비하라”

[우먼컨슈머= 김아름내 기자]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이 지난 2015년 790억달러에서 2020년 2060억달러로 연평균 21.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삼정KPMG는 15일 '스마트 헬스케어의 시대, 데이터 전쟁을 대비하라' 보고서에서 이같이 내다봤다.

(삼정KPMG 제공)
(삼정KPMG 제공)

특히 2020년까지 헬스케어 내 데이터 양이 2만5000PB로 지난 2012년에 비해 약 50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돼 국내 헬스케어 기업들은 헬스케어 내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전략적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근 헬스케어 산업의 패러다임이 치료·병원 중심에서 예방·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헬스케어 산업 내 빅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헬스케어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연간 최대 1900억달러(약 215조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임상시험 단계에서는 750억달러에서 1500억 달러(약 85조~170조원) 규모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많은 제약사들이 전체 연구개발비의 60%에 해당하는 임상시험 비용을 줄이기 위해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종플루 치료제 '타미플루(Tamiflu)'로 유명한 미국 제약 회사 길리어드는 헬스케어 분야 전문 정보기술(IT) 기업 메디데이터의 임상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해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임상 기간을 30~40%(6~7년) 단축했고 임상3상 때 1인당 들어가는 비용을 49% 줄일 수 있었다.

한국은 단일 건강보험체계를 보유하고 있는 특수성으로 보험청구 데이터의 양과 다양성이 세계 최고 수준이며, 2015년 기준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도입률도 92%로 의료기관 내 의료정보 전산화율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데이터가 파편화되어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웹 기반 정보교류에 참여하는 의료기관도 1% 미만에 불과해 데이터의 공유와 통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정KPMG 헬스케어산업전문 리더 박경수 이사는 "헬스케어 기업은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내 데이터의 중요성을 정확하게 인지해야 한다"며 "헬스케어 시장 선점을 위해 표준화 관련 기술을 발굴하고 상호운용성 있는 제품을 통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특히 민감한 개인 정보를 다루기 위해 상당한 수준의 사이버 보안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