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4세 생산연령인구 처음 감소세로 전환

[우먼컨슈머 김성훈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인구(5142만명)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2%(711만5000명)여서 우리나라는 초고속으로 '고령사회'에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처음 감소세로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지 17년만에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이다.

고령화 속도가 빠른 일본의 경우도 1970년 고령화사회에서 1994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24년이 걸렸다.

(출처=통계청)
(출처=통계청)
(출처=통계청)
(출처=통계청)

통계청은 27일 이같은 내용의 '2017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방식 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5,142만명으로 전년(5127만명)보다 15만여명(0.3%) 늘었다.

이 중 수도권 인구는 2,551만9000명으로 전체인구의 49.6%를 차지했다. 경기도가 1,285만2000명으로 18만명 증가해 전체의 25%를 차지했고, 서울은 974만2000명으로 6만4000명 감소해 전체의 18.9%로 경기도에 뒤졌다.

경제성장에 중요한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19만6000명으로 전년(3,631만2000명)에 비해 0.3%(11만6000명) 감소했다.

우리나라 생산연령인구가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한 지역은 17개 시도 중 76.5%인 13개 시도에 달한다. 229개 시군구 중에서는 72.9%인 167개에서 생산연령인구가 줄었다.

저출산 심화로 0∼14세 유소년 인구는 663만2000명(13.3%)으로 2016년 처음 65세 이상 고령 인구에 추월당한 이후 격차가 확대되는 추세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유소년 인구보다 48만4000명 많다.

(출처=통계청)
(출처=통계청)

2017년 100세이상 인구는 3908명으로 전년 대비 12.1% 증가했다.

노령화 지수가 가장 큰 시도는 전남으로 171.5로 집계됐다. 세종시는 노령화지수가 47.8에서 45.5로 줄어 전국에서 유일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9개 시군구 중 고령인구가 유소년 인구보다 많은 시군구는 162개(70.7%)로 전년보다 6개 지역 늘었다. 노령화 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647.5)이었고 울산 북구(38.6)가 가장 낮았다.

100세 이상 인구는 3,908명으로 전년보다 12.1% 증가했다.

시도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0%)이 가장 높고, 경북(19.0%), 전북(19.0%), 강원(18.0%)순이었으며, 세종은 9.3%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령인구 비율이 감소했다. 동 지역의 고령인구 비율은 12.5%, 읍 지역은 15.5%, 면 지역은 28.6%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은 147만9000명으로 총인구의 2.9%를 차지하며, 전년보다 4.6%(6만5000명) 증가했다.

국적별로 보면 한국계 중국인(조선족)이 49만8000명(33.6%)으로 가장 많고 중국인(21만2000명·14.3%), 베트남(14만8000명·10.0%) 등의 순이다. 

연령별로 보면 25∼29세 외국인이 24만4000명(16.5%)으로 가장 많았고 30∼34세(23만2000명·15.7%), 35∼39세(16만6000명·11.2%)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