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진침대 고객상담전화 연결까지 안돼

[우먼컨슈머 김아름내 기자] 대진침대 라돈 검출 사태 100여일이 지났지만 현재까지 약 9천개의 매트리스가 수거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월 3일 대진 침대 라돈 검출사태로 소비자 불안이 커지자 정부는 6월 16~17일 우체국 직원 3만 명, 차량 3200대를 투입해 집중수거를 진행했다. 그러나 아직 수거되지 못한 매트리스가 많은 상황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당진에 보관된 침대 17000개 해체를 못하고 있으며, 미수거 대상인 9천여개 침대를 수거해 보관할 지역 선정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추가로 침대를 수거할 대책 또한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대진침대 매트리스 9천여개가 아직도 수거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환경보건시민센터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각각 라돈 침대 사태 관련 기자회견 모습 (사진= 김아름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대진침대 매트리스 9천여개가 아직도 수거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환경보건시민센터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각각 라돈 침대 사태 관련 기자회견 모습 (사진= 김아름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 8월 8일~10일 1372소비자상담센터로 대진침대관련 문의를 한 소비자 상담 162건을 분석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8월 9일 집단분쟁조정을 발표하며 대진침대를 구입한 소비자에게 집단분쟁신청에 관한 알림 문자를 전송했다.

소협은 162건 중 중복된 회수 관련 내용 82건을 분석한 결과 ‘대진 홈페이지에서 회수를 신청했으나 회수되지 않았음(56건)’이 가장 많았고 회수방법, 회수 후 진행상황 문의는 각각 13건으로 나타났다.

대진침대는 라돈검출 사태 후 홈페이지를 통해 서울과 천안 지역 유선 전화번호를 게재했다. 그러나 소비자(26건)는 “전화 연결이 전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회수 후 교환 제품 미도착”, “원안위와 대진 측 수거대상 생산년도 불일치로 인한 이의제기”도 했다.

또 소비자원이 보낸 안내문자를 받지 못한 소비자 상담은 35건, 1차 집단분쟁조정 신청 기간에 접수하지 못해 추가 접수를 묻는 상담이 10건으로 확인됐다.

소협은 “대진 라돈 침대 사태 원인은 인체 유해성 검사를 제대로 하지않은 제조기업에 있지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되지 않은 정부 실책도 있다”면서 “공급자 중심의 기존 정보체계를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하고 총리 산하로 격상된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 대진 라돈 침대 문제를 조속히 의제화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