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비만율 15.4%...美 대통령 부인이 비만퇴치에 앞장

[우먼컨슈머 이춘영 기자] 미국은 오바마 대통령 재임시 부인 미셸 여사가 비만퇴치 운동에 적극 참여해 세계적 뉴스가 된 적이 있다.

이제 비만은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다. 우리나라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처지다.

질병관리본부가 2016년11월 조사해 발표한 우리나라 사람의 비만 유병률은 적색신호가 이미 켜진 상태다.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25이상인 비만자 비율이 33.2%로 3명중 1명 꼴이다. 1년전 조사(32.5%)때보다 0.7%포인트 높아졌다. 남자의 경우 39.7%(10명 중 4명꼴)로 매년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여자는 26%여서 남자보다는 비만자가 상대적으로 적다. 청소년 비만율도 15.4%나 된다.

지난 2013년 당시 문형표 복지부장관이 하루 당분 권장 섭취량의 절반 이상인 탄산음료에 비만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물가상승 및 저소득층 부담 증가 우려로 흐지부지됐다.

WHO는 2016년 각국에 ‘비만세(설탕세)’ 도입을 공식 권고했다. 탄산음료 등 당류, 트랜스지방이 많이 포함된 음식에 20%의 세금을 부과해 소비를 감소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멕시코, 헝가리, 핀란드 등 일부 국가들은 당류와 트랜스지방이 많이 포함된 식음료에 ‘비만세(혹은 설탕세)’를 물려 소비를 줄이고 거둔 세금으로 비만 퇴치운동을 벌인다.

우선 급한대로 건강보험공단이 나섰다. 갈수록 심화되고있는 비만 문제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오는 3월9일까지 비만예방 디자인 공모전을 연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산하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3일 내놓은 '건강수명 향상을 위한 보험자 비만관리사업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6년 4조7654억원에서 2015년 9조1506억원으로 10년새 약 2배 증가했다.

음주 흡연 피해 못지 않은 사회경제적 손실이다.

2015년 기준 비만 질병비용을 손실 항목별로 구분해보면, 의료비 58.8%(5조3812억원), 조기사망액 17.9%(1조6371억원), 생산성 손실액 14.9%(1조3654억원), 간병비 5.3%(4864억원), 교통비 3.1%(2804억원) 순으로 비중이 컸다.

비만에 따른 질병군별 손실은 당뇨병이 24.1%(2조2010억 원)로 가장 컸다. 이어 고혈압 20.8%, 허혈성 심장질환 9.4%, 관절증 7.1%, 허혈성 뇌졸중 7.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비만인 남자가 질병에 걸릴 위험은 정상체중 남자와 비교해 당뇨병 2.52배, 고혈압 1.99배, 대사장애 1.73배, 울혈성 심부전 1.70배였다.

고도비만인 남자의 경우 당뇨병 4.83배, 울혈성 심부전 3.07배, 고혈압 2.95배, 대사장애 2.03배로 더 높았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