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인지장애 환자 대상, 신경심리검사로 3년이내 치매 진행여부 판단

[우먼컨슈머 장은재 기자]  신경심리검사만으로 개인별 치매 진행여부를 예측하는 '치매 발병 조기예측 모델'이 개발됐다.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도준)은 20일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학술연구용역 사업'(과제명: 코호트기반 아밀로이드병리관련 생체지표 분석연구)을 통해 경도인지장애 환자 대상으로 치매 발병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학술연구용역을 맡은 삼성서울병원 연구진(서상원 교수, 장혜민 임상강사, 의생명정보센터)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신경심리검사 결과만으로 개인별 치매 발병위험지수를 산출하여 3년 이내 치매 진행 여부를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인 노모그램을 개발했다. 노모그램은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각 변수로 하여 그 관계를 그림으로 표시한 수치를 읽기 편리하도록 만든 도표 또는 계산표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는 인지기능의 저하가 관찰되지만 일상생활능력의 저하가 동반되지 않는 상태로, 정상에서 치매로 이행되는 중간단계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매년 10-15%가 치매로 진행하는 치매 고위험군이다.

신경심리검사는 치매환자에서 인지기능 평가를 목적으로 실시되는 검사로, 치매 원인질환의 감별진단 또는 환자의 질병경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 중 서울신경심리검사(SNSB)는 인지기능에 대한 종합적이고 심층적인 정보제공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검사다.

예측모델은 나이, 기억장애의 양상(시각기억, 언어기억), 기억장애의 정도(초기, 후기), 인지장애의 영역(단일영역, 다중영역) 등 4가지 위험요인을 기초로 만들었으며, 3년 이내 치매 전환 확률을 75%의 정확도로 예측한다.

연구결과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및 예측 시스템’으로 국내 특허 출원을 올해 8월 완료했으며, 국제학술지인 알츠하이머병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온라인판에 11월 7일자로 게재됐다.

서상원 교수 연구팀은 국내 31개 병원의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에서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하고 3년 이상 추적 관찰한 338명 환자의 데이터를 기초로 개인별 치매발병위험지수를 산출하여 치매전환 예측모델(노모그램)을 개발했다.

3년 이내 치매로 전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고려하기 위해 내원 시점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하여 ① 기억장애의 양상 (시각기억, 언어기억) ② 기억장애의 정도 (초기, 후기) ③ 인지장애의 영역 (단일영역, 다중영역) ④ 나이에 따라 분류하여 위험도를 구하고 개인별 치매발병위험지수를 산출했다.

산출된 치매발병위험지수로 최종값을 계산하여 치매진행 확률을 얻는다. 이 치매진행 확률은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3년 이내 실제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언어기억력 혹은 언어기억력과 시각기억력이 같이 저하되거나, 기억장애의 정도가 심하거나, 다발성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 치매 전환가능성이 높았다.

개발된 치매전환 예측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외부 데이터에 적용해보았을 때 실제 치매전환 확률과 예측모델에 의한 치매전환 확률이 75%이상의 일치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예측모델로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개인별 예후 예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환자-의사 면담 과정에서 환자 개개인에 대해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치료 방안 및 예방법을 제시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개인별 치매발병위험지수를 산출하여 치매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며, 고 비용의 영상 검사 및 영상 전처리 과정, 분석 과정이 없이도 신경심리검사만을 활용하여 실제 진료실에서 쉽고 간단하게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측모델 개발을 주도한 서상원 교수는 “환자 개개인에게 적용 가능한 치매발병 예측모델을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치매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고 운동요법 및 인지증진프로그램 등 예방적 개입을 도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환자 본인이 치매 발병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 아는 것은 치매 예방·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 결과는 추후 임상적용을 위하여 더 많은 대상자에서 검증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치매를 조기진단함으로써 적극적인 예방관리 및 조기치료를 통해 질병의 악화를 지연시켜, 발병지연 및 유병률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또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적 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지속적인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사업 (치매뇌조직은행 및 임상연구정보DB 구축)을 통해 치매 진단정확성을 개선하고, 치매 조기진단기술의 임상적용 및 실용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