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변덕스러운 날씨로 고생하고 있다. 시민들도 마찬가지다. 올여름에는 폭염이 전국에 맹위를 떨쳤다. 푹푹 찌는 가마솥더위에 시민들의 힘든 시간은 한동안 이어졌다.

농작물 피해가 대량으로 발생한 것은 물론이고 폭염 사망자들도 속출해 이번 여름의 더위의 심각성을 체감할 수 있었다.
 
폭염이 물러나니 태풍이 북상해 전국을 어둡게 만들었다. 15호 태풍 '볼라벤(BOLAVEN)'과 제14호 태풍 '덴빈(TEMBIN)'이 연이어 한반도를 강타했다. 이들 태풍으로 전국 곳곳에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그렇다면 이번 폭염이 무서웠던 이유는 무엇일까. 자연재해로부터 가장 안전한 곳은 어느 지역일까.
 
'올여름 폭염 얼마나 무서웠길래'
 
이번 폭염으로 폭염경보발령 건수와 사망자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년에 비해 이번 더위가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2일 정보공개센터가 기상청과 질병관리본부에 정보공개청구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5년간 폭염경보횟수는 2008107, 200910, 2010105, 201117, 2012134건으로 한 해 동안 폭염경보가 대량 발령됐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8월 문턱에 이미 134건의 폭염경보가 발령됐다.
 
폭염경보간 평균기온은 2010년까지 35.7도 가량을 유지했다. 지난해와 올해는 36도로 상승했다. 폭염경보시 최고기온도 매년 상승됐다가 소폭 낮아지는 패턴을 보이는데 전체적으로는 상승했다. 올해의 경우(지난달 2일 기준) 아직까지는 2010년과 비슷한 38.7도를 기록중이다.
 
폭염자체의 유지시간도 증가했다. 즉 폭염발령부터 해제까지의 시간이 길어졌다는 의미다. 예년까지 대체로 하루 동안, 길어야 3일간 지속됐던 폭염경보가 올해는 4~5일을 넘게 지속되는 경우가 많았다.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도 지난해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6명이던 폭염 피해 사망자가 올해는 14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정보공개센터 관계자는 "많은 기후 전문가들이 이상 기후와 여름철의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폭염이 잦아지는 것이 온난화의 가장 큰 특징이자 지구가 보내는 경고장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은 더 이상 장려하는 캠페인이 아닌 정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재난 안전지대는 어디?
 
태풍 볼라벤과 덴빈의 위력을 실감한 한반도였다. 피해도 컸다. 태풍 피해는 올해만 있던 것은 아니다. 앞으로도 해마다 태풍피해는 일어난다. 태풍뿐만이 아니다. 장마, 폭설 등 재난의 이유는 많다.
 
전국에서 재난에 가장 안전한 지역과 불안전한 지역은 어디일까.
 
소방방재청이 발주한 정책용역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역안전도 진단 연구'를 보면 전국 232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위험환경, 방재성능, 위험관리능력등을 진단해 안전도가 높은 곳과 낮은 곳을 알 수 있다.
 
정보개센터가 공개한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역안전도 진단 연구에 따르면 2009232개 시군수의 안전도 진단결과 상위 1등급은 서울시 광진구, 노원구, 안양시, 정선군, 보은군 등 31개 지역(13.4%)이다.
 
2등급은 서울시 은평구, 광주시 북구, 동두천시, 횡성군, 충주시, 공주시, 김제시 등 94개 지역(40.5%)이다. 3등급은 서울시 구로구, 부산시 동래구, 인천시 계양구, 광주시 서구, 오산시 등 95개 지역(40.9%)이다.
 
4등급은 11개지역(4.7%)으로 인천시 부평구, 고성군, 증평군, 서천군, 문경시, 통영시가 해당된다. 마지막 5등급은 전국에서 한 곳으로 영양군이다.
 
자연재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진단등급은 도시지역으로 볼 수 있는 7개 특별시, 광역시가 평균 2등급으로 평균 2.5등급인 9개 도보다 높게 진단된다.
 
이것은 도시기반시설인 하천, 하수도 등 방재시설 정비가 비도시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잘 정비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정보공개센터는 전했다.
 
피해발생내역을 보면 1994~2008년 동안 총 176회가 발생돼 인명피해가 1524, 재산피해가 254132억원, 이재민이 314368, 농경지 및 도시 침수가 656430ha, 건물침수가 405393동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피해규모는 강원, 경남, 경북, 경기 등의 순으로 많이 발생되고 있다.
 
정보공개센터 관계자는 "천재지변은 막을 수 없지만 더 큰 재난으로 번지지 않도록 잘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수도권에만 집중하기 보다는 지방의 안전취약지역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