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김보경 농촌진흥청 벼육종재배과장

 

 

우리나라 국민에게 안정적인 먹을거리를 공급하기 위하여 1970년대에는 쌀의 증산에 지상 목표를 두고 육종에 노력한 결과, 쌀 생산량이 획기적으로 증대한 품종이 개발되어 해마다 겪던 보릿고개라는 빈곤에서 해방 되었던 즐거운 추억이 있다. 이후 1990년대에는 재배 안정성과 병해충 저항성을 기반으로 수량 증대와 우수한 외관 품위 및 밥맛을 낼 수 있는 품질 향상의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 먹거리 해결과 품질 고급화를 정상 궤도에 올려놓는 눈부신 성과로 이어졌다. 따라서 밥쌀용으로는 외국 품종에 비교하여 결코 외관 품위나 밥맛이 뒤지지 않는 고품질 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기반을 세울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쌀의 용도는 단순히 1일 3식의 식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밥쌀용으로써의 소비 형태에 머물러 있지 않은 것 같다. 바쁜 일상에서 쫓기는 직장인, 맞벌이 부부들은 물론이고 부족한 수면에 시달리는 수험생들에게는 식사 준비나 식후의 설거지 등의 여유가 없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간편식이나 즉석밥 또는 초밥과 같은 음식 등이 새롭게 부각되면서 다양한 쌀 소비 형태가 탄생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소비 형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연구진에 의해 쌀 품종개발도 꾸준히 변모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농촌진흥청에서 용도별로 개발한 쌀 품종을 살펴보면, 식사용으로는 조생종으로 ‘운광’, 중생종 ‘하이아미’, 중만생종 ‘삼광’, ‘호품’, ‘미품’, ‘진수미’, ‘영호진미’, ‘칠보’ 등이 개발 되었는데 외관 품위 및 밥맛이 우수한 것으로 인정되어 최고품질 품종으로 농가에 보급되고 있으며 올해 ‘수광’‘ 및 ‘대보’를 추가로 품종 등록 할 예정이다. 전라북도의 우수브랜드 대표 품종인 ‘신동진’은 타 품종보다 원료곡에서부터 차등 수매 한 후 철저한 수확후관리 및 가공단계를 거쳐 생산되므로 품질 및 밥맛 우수성이 도시 소비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최고품질 수준의 품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간편식 또는 즉석밥 용도로는 식은 밥의 노화가 늦고 밥맛이 오래 유지 되는 ‘주안벼’가 이미 무균 포장밥으로 생산되어 시판 중에 있으며,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 했을 때에도 품질 변화가 적은 ‘삼광’은 도시락 및 김밥 용도로 적합하다. 밥을 냉장 및 냉동으로 보관하였을 때 밥맛, 부드러움 및 찰기 등의 변화가 적은 ‘하이아미’는 삼각김밥이나 냉동볶음밥 등에 알맞으며 특히, ‘하이아미’는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30% 더 함유되어 있어 어린이 성장발육을 촉진시키는 효과도 있다. 
 
외식 전문점을 대상으로 한 초밥용으로는 맛, 향, 밥을 씹을 때 입안에서 잘 풀어지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고 있는 ‘호품’이나 ‘신동진’이 적합한데 이는 외국의 일식집에서 초밥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고시히까리’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국내 초밥 전문점은 물론 외국 일식집을 대상으로 원료곡의 수출이 가능해짐으로써 고품질 쌀의 수출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이렇듯 쌀이라고 해도 다 똑같은 쌀이 아니다. 밥쌀용으로 우수한 품종이 즉석밥이나 간편식 또는 가공용 쌀 식품에 맞는 모두 알맞은 것이 아니다. 품종별로 각각 가공 용도에 맞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품종별로 소비자를 겨냥하고 있는 디자인이 다른 것이다. 
 
따라서 생산자나 가공업자, 식품업계에서는 국내외 음식문화의 변화와 우리 쌀의 용도별 맞춤형 디자인을 잘 이해하고 각기 다른 디자인에 잘 활용하여야 다양한 소비자 요구에 맞는 독자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한다. 소비자의 식생활 변화에 따른 밥쌀용의 용도 변화를 신속히 알아차리고 소비자의 요구에 알맞은 디자인으로 발 빠르게 상품화하는 지혜와 용기가 필요한 시기이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