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오정규 농림수산식품부 제2차관

 

 

월드워치연구소 레스터 브라운 박사는 1995년 <중국을 누가 먹여 살릴 것인가?(Who will feed China?)>라는 화두를 던져 화제가 되었다. 박사는 일본, 한국 등을 예로 들며 경제가 발전할수록 동물성 단백질 생산을 위한 곡물의 간접소비가 늘어났다며 식량문제에 경종을 울린 것이다. 17년이 지난 지금 전망은 모두 현실로 되었다. 중국은 2004년 이후 농산물 순수입국으로 전락했다. 
 
미래 학자들은 식량문제 해결 열쇠로 수산양식을 꼽고 있다. 그 이유는 양식수산물의 사료효율(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에 대한 비율)이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미 캘리포니아주립대의 발표에 따르면 돼지 1㎏ 생산에 사료 3.5㎏가 요구되며, 소는 5.5㎏의 사료가 소비된다. 반면 어류양식에서는 1㎏ 생산에 약 1.2㎏의 사료면 가능하다. 심지어 치어 시기에는 사료 0.8kg로 1kg을 생산하기도 한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에서 ‘수산물 = 건강’이란 인식이 확산되면서 가파르게 수산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인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1998년 11kg에서 2009년에는 32kg으로 20년만에 3배 늘었는데 앞으로 그 속도는 더욱 가속화 되리라 생각된다. 참고로 중국의 1인당 수산물 소비가 1kg이 늘어 날 때 130만톤의 수산물 증가가 필요한데 이는 우리나라가 연근해 어획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더욱이 전문가들은 2020년 중국인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이 40kg 이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수산물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국내 수산물 수출은 2007년 12억불에서 2011년 23억불로 증가하는 등 5년만에 2배 이상 확대되었다. 그동안 내수에 그치던 수산물들이 수출 효자품목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김은 지난해 1억 6천만불을 수출, 전년보다 60%나 늘어났고 전복은 23%나 수출이 증가하였다. 이제는 소위 잘 나가는 품목은 중국이나 일본에서 없어서 못 팔 지경이 된 것이다. 
 
이에 정부는 수산물 소비수요 확대에 대응하는 한편, 수출 전략품목으로도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갯벌참굴, 해삼, 넙치, 참치 등 10대 전략품목 육성 대책을 작년에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친환경 수산양식을 선도하는 국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우선 양식생산 관련규제는 과감히 철폐할 것이다. 신규개발을 제한했던 전복, 미역, 김 등 8개 품목에 대해서 어장개발을 이미 허용했다. 아울러 어업인들이 양식품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어장의 시설비율이나 규모의 한계도 확대하였다. 이렇게 되면 멍게어장이 미더덕어장으로 굴어장이 홍합어장으로 바뀔 수 있고 전복 양식시설은 두 배로 늘어나게 되어 어장을 늘리지 않고도 생산량이 10% 이상 증가할 것이다. 
 
두 번째로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다. 전통의 양식 적지였던 연안은 과학과 기술의 힘으로 그 공간적 한계를 벗어나고 있다. 도심속 빌딩에서 양식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가 하면, 드넓은 외해에서 양식을 하게 될 것이다. 친환경 양식기술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어류, 해조류, 패류 등을 같은 장소에서 동시에 생산하는 ‘생태 순환형’ 양식 방법을 통해 수면을 입체적으로 이용하는가 하면,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는 ‘순환여과식’ 양식방법 등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진입퇴출 원활화이다. 어업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유휴상태로 방치된 어장을 회수하여 양식계통 학교를 졸업하거나 어업인 후계자와 같이 신규 진입을 희망하는 사람에게 넘기도록 하여 양식어장 이용의 극대화도 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금년 중으로 비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어장의 규모가 과연 얼마나 되는지 면밀히 조사하고 어장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할 것이다. 
 
엘빈토플러는 1980년 ‘제3의 물결’에서 수산양식을 포함한 해양산업이 미래 4대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마트폰 출현을 전망한 조지 워싱턴 대학 윌리엄 하랄 교수도 2008년 ‘기술의 약속’에서 수산양식이 주력산업으로 부상할 것이라 언급한바 있다. 지금 세계 수산양식은 더 이상 미래산업이 아니다. 이미 현실이 되고 있다. 그 가운데 친환경 수산양식을 선도하는 비전을 가진 대한민국이 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