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송석준 국토해양부 국토정보정책관

 

 

얼마 전 국제수로기구(IHO) 국제회의에서 일본해 단독표기 안건이 부결됐다. 동해와 일본해 병기의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동해 단독표기를 향한 국민의 열망을 생각하면 아쉬운 결과지만, 일본의 막무가내식 영유권 주장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였다. 
 
이 시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독도의 공간정보 구축이다. 우리 선조들은 빈번한 전쟁과 침략 속에서도 자국 영토에 대한 권리등록을 명확히 하고 쉽사리 협상에 올리지 않았다. 덕분에 지증왕 13년(512년) 우산국과 독도 등 부속도서까지 모두 복속된 이래 현재까지 독도에 대한 실효권을 주장할 다양한 역사적 근거들을 충분히 갖출 수 있게 됐다. 일본이 더 이상 억지주장을 펴지 못하게 하려면 보다 더 명확한 증거가 필요하다. 과학적이고 문화적인 접근방법이 그것이다. 
 
최근 국토해양부는 전자해도를 제작하며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과학적인 근거 마련에 나섰다. 한국해양연구원의 독도 수중 생태지도, 독도연구소의 3D독도기행은 그 일환으로 이뤄진 사업이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공간정보로 확인되는 독도의 모습은 한국령 표석부터 측량 삼각점, 어민숙소까지 생생하게 다가온다. 
 
인터넷 가상공간에 존재하는 위치 기반의 콘텐츠에서 지리적인 경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독도의 공간정보 역시 가상공간에서 색다르게 만날 수도 있을 것이다. 폐쇄회로(CC)TV를 비롯한 공간정보 기술로 독도의 해상·해저의 자원을 새롭게 스토리텔링하면 마치 이야기 속의 토끼가 되어 바닷속 용궁에 간 듯한 경험도 가능하다. 
 
앱 스토어에 독도앱을 제공한다면 전 세계 누구나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이벤트에 참여할 수도 있다. 독도의 해저에 있는 커피숍에서 해양심층수 커피 쿠폰을 구입해 근처 편의점이나 카페에서 교환할 수 있게 하고 이 금액의 일부가 독도를 보호하는 기금으로 활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독도의 정보로 구성한 다양한 공간정보는 어떤 것보다 강하게 사람을 움직이는 힘이 될 것이다. 과거에도 이렇듯 ‘독도, 코리아’를 공간정보 속에서 찾았다면 국제사회의 주요이슈에 대한 답을 더 빠르게 찾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