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 활용 밀렵 감시체계 최적화 등

[우먼컨슈머 장은재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 발맞춰 환경관리도 똑똑해진다. 이를 위해 환경부(장관 조경규)는 ‘지능형 환경관리 대책반(T/F)’를 발족하고 인공지능(AI) 등 첨단 IT기술을  적용한 환경관리 정책과제를 발굴한다고 13일 밝혔다.

'지능형 환경관리 T/F’에는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한국환경관리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태원 등 환경부 소속-산하기관을 비롯해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드론 관련 기술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환경부는 ‘지능형 환경관리 T/F’ 발족과 관련, 지난  3월 10일 서울 서초구 LW컨벤션센터에서 1차 회의를 개최했다.

1차 회의를 통해 ‘지능형 환경관리 T/F’는 올해 5월 중으로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질 데이터 측정 강화,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고도분석으로 환경변화 사전예측 및 관리 최적화 등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환경관리 정책을 발굴하기로 했다.  

 

 

또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루는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밀렵에 대한 감시 체계 최적화, 대기 등 환경질 예보 고도화, 멸종위기종 행동 분석을 통한 안전한 서식처 유도 등 해외 사례를 참조하여 ‘지능형 환경관리로의 혁신방안(가칭)’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영훈 환경부 환경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은 기술적 측면에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독립적으로 발전해온 기술이 상호 융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한다”며 “환경관리 분야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적용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질의응답]

1. 4차 산업혁명의 환경 분야 시사점은? 

4차 산업혁명은 산업·고용·생활양식 등 사회 전 분야의 근본적 체질을 변화시키고 그로인한 막대한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므로 국민생활과 밀접한 환경 분야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고용·교육 등의 분야에서는 산업·고용의 변화와 사회적 파급력에 적응하고 대응해야하는 도전적 측면이 강한 반면, 환경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이루는 핵심기술들을 환경관리에 적용하여, 지능화·고도화·최적화 할 수 있는 기회적 측면이 강하다고 판단된다.

2. 해외에서 환경관리 분야에 4차 산업혁명을 적용한 사례가 있는지?

환경관리 분야에 인공지능을 접목한 사례를 일부 조사한 바는 있으나, 보다 심층적이고 폭넓은 조사가 필요하며 국내 정책 적용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불법적인 삼림 벌목 방지,  국립공원의 불법침입 방지, 멸종위기 조류 보호, 재활용 하는 로봇 분야 등이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