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컨슈머 김아름내 기자] 가습기살균제 사망자 수가 1000명을 넘어섰다.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 환경보건시민센터는 17일 “10월 14일까지 접수된 피해 신고는 모두 4,893명으로 이중 사망자는 20.7%인 1,012명이고 생존환자는 3,881명”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집계는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정부의 공식 피해 접수기관인 환경부 산하 환경산업기술원이 국회에 보고한 피해 현황과 정부가 그동안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한, 판정 이후 사망한 4단계 피해자 현황을 종합한 결과다. 

전체 피해 신고 중 74%가 올해 4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 이뤄졌다. 사망신고도 10명 중 8명(77%)이나 됐다.

▲ <표> 2016년도 가습기살균제 월별, 일 평균 피해 신고 및 누계 현황 <제공 환경보건시민센터>

 

환경산업기술원이 국회 특위 우원식 위원장실에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4월에 42명(일 평균 8.4명), 5월에 1,012명(일 평균 32.6명), 6월에 1,362명(일 평균 45.4명), 7월에 401명(일 평균 12.9명), 8월에 387명(일 평균 12.5명), 9월에 221명(일 평균 7.4명), 10월 14일까지 186명(일 평균 13.3명)이 신고했다.

가습기살균제피해자가족모임은 “전체 신고자 4,893명 중 14%인 65명에 대해서만 정부 조사가 이뤄졌고 나머지는 정부의 판정이 언제 나올지 모른 체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또 “협소한 판정기준에 의한 판정결과가 심각하다”며, “농약성분의 살균제에 전신이 노출된 피해자의 건강피해가 다양할 수밖에 없는데 정부는 조사초기의 폐섬유화를 중심으로 하는 제한적 임상적 경험만을 판정기준으로 삼고 추가적인 건강영향에 대한 조사연구를 하지 않다가 최근에서야 ‘폐 이외 건강영향연구’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들에 따르면 판정된 695명 중 37.1%인 258명만이 ‘관련성 확실’인 1단계, ‘관련성 높음’인 2단계 판정을 받아 정부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62.9%인 437명은 사실상 ‘가습기살균제를 사용도 하지 않은 무관한 사람들’로 취급받았다.
피해대상 연령은 3살 이하의 영유아, 30대 초반 산모, 60~70대 노인에게 집중됐다.

가습기살균제피해자가족모임은 “2011년 8월 정부의 역학조사 발표로 알려졌지만 피해신고와 조사가 시작된 건 2013년부터였다. 정부는 사건을 제품하자로 봤고 개별소비자가 해당 제조판매사를 대상으로 소송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봤다”며, “하지만 가습기살균제 제품 자체 문제고 정부의 화학물질 및 제품안전관리에 큰 문제가 있음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검찰이 5년만에 수사를 진행하고 옥시불매운동도 확산되고 있다. 가습기살균제 제조판매사인 롯데마트, 옥시레킷벤키저, 홈플러스 등이 사과했지만 정부는 사과가 없고 SK케미칼, 애경, 이마트 등도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20대 국회가 첫 국정조사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청문회를 열고 옥시 영국 본사까지 찾아가 공식 사과를 받아냈지만 결국 밝혀야 할 진실을 남겨둔 채 끝났다”면서, “진상규명, 피해대책,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 특위를 재구성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