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 CGV 좌석에서 주황색은 이코노미 석으로 9천원, 초록색은 스탠다드 존으로 1만원, 프라임 존은 1만 1천원이다. <CGV 어플 캡처> 

 

[우먼컨슈머 김아름내 기자] CGV 가격차등화 정책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나오는 가운데 시민단체가 정책 철회요구를 주장했다.

참여연대,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청년유니온 등 시민단체는 3월 3일부터 CGV가 시행한 좌석별·시간대별 가격차등화 정책에 반대하며 “CGV가 가격차등화 정책을 철회할 것”을 24일 요구했다.

CGV는 좌석별 차등요금제를 통해 전체 좌석의 약 20% 정도를 이코노미존으로 배정하고 기본요금에서 1천원 할인했다. 약 40% 정도는 1천원 인상된 프라임존, 남은 40%는 스탠다드존으로 배정했다.

좌석별 차등요금제로 인해 평일 월~목요일에 예매하는 영화 관람객은 좋은 좌석을 예매하기 위해 1천원을 더 지불하거나 기본요금이 적용된 스탠다드존에 앉아야한다.

예매율이 높은 주말인 금~일요일에는 1천원을 더 내고 영화를 봐야한다.

관람객들은 개선되지 않은 좌석에 추가 금액을 지불해야한다는 이유로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시민단체는 “평일은 대부분 관객이 1000원을 더 지불하고 주말은 절반 가까운 관객이 1000원을 더 지불하게 되므로 CGV의 가격차등화 정책은 명백히 가격인상을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또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가 스크린 수의 95%를 차지하는데, “CGV가 선제적으로 가격인상을 실시할 경우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가격을 인상하는 정책을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CGV는 2월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소비자원 여론조사 결과 65% 관객이 좌석 위치에 따라 관람료를 달리하는 차등요금제를 찬성한다는 것을 가격차등화 정책 실시의 근거로 들었다.

CGV의 입장과는 달리 한국소비자원의 다중위락시설(복합상영관) 요금 및 운영실태 조사를 보면 65%의 관객은 영화 관람이 곤란한 맨 앞좌석 할인 폭을 확대하는 차등요금제에 찬성했다.

소비자원은 또 ‘일반좌석 가격을 상향하려는 것은 가격인상과 다르지 아니함’이라고 명시했다.

시민단체는 “CGV는 가격인상을 야기하는 정책을 억지로 정당화하기 위해 가격차등화 정책의 주장과도 배치되는 자료를 엉뚱한 근거로 삼았다”면서, “진정 CGV가 2/3의 관객이 찬성한 여론에 충실하려면 다른 좌석의 가격인상 없이 영화 관람이 불편해 이코노미존으로 배정한 좌석 가격을 대폭 인하하거나 이코노미존을 폐쇄하고 관객에게 부담 없는 가격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모닝(10시 이전), 브런치(10시~13시), 데이라이트(13시~16시), 프라임(16시~22시), 문라이트(22시~24시), 나이트(24시 이후)로 나뉘는데 관람시간대별 가격차이도 소비자의 불만을 낳고 있다.

각 지점마다 차이가 있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일반 2D 영화 관람의 경우 데이라이트 시간에 8천원에 볼 수 있는 영화를 오후 4시부터는 프라임 시간이 적용돼 9천원에 예매해야한다. 1분 만에 1천원을 더 내야하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직장인은 오후 6시 이후부터 영화를 볼 수 있어 할인 적용을 받기 어렵다. 1천원 할인되는 24시 이후인 나이트 시간대도 마찬가지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