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는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신뢰의 수준이 높고 자발적 봉사활동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안국 선임연구위원이 20일 공개한 '한국의 사회적 자본 수준' 보고서에 따르면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적 자본이란 사회 구성원들이 공동 목표를 효율적으로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자본으로 신뢰, 봉사활동, 정치효능감 등으로 구성됐다.

학력별 사회적 자본 수준을 살펴보면 신뢰의 폭과 질은 중졸 이하가 각각 2.20점, 2.01점인 반면 대졸자는 2.37점, 2.31점으로 학력 수준에 비례했다.

봉사활동 빈도는 중졸 이하 27.8%, 고졸 23.0%, 전문대졸 25.7%, 대졸 31.0%, 석사졸 44.2%로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정치효능감 역시 중졸 이하는 2.83점이나 대졸자는 3.19점으로 나타나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6~29세)이 장년층(30~65세)에 비해 사회적 자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장년층은 신뢰의 폭에서는 2.36점, 질에서는 2.21점인 반면 청년층은 2.20점과 2.13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봉사활동 역시 청년층(24.4%)이 장년층(32.1%)에 비해 낮은 빈도수를 기록했으며 정치효능감 역시 장년층이 3.30점, 청년층은 2.85점으로 장년층이 청년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OECD와 비교해보면 정치효능감은 OECD 국가 평균을 상회하지만 신뢰의 폭과 질, 봉사활동 참여는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김 연구위원은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은 구성원들의 협조와 협력을 용이하게 해 윈윈 게임을 이끌어내는 기제이자 거시적으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요소"라며 "향후 신뢰의 수준을 OECD 주요국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봉사활동 역시 지역공동체와 가족공동체의 붕괴라는 현실에서 고아, 미혼모,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의 사회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빈도를 높이는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우먼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